filters
 
All
Architectural
Urban
Renovation
Interior
Elements
Competition
Exhibition
 
木陽住宅
Architectural
Yang Pyeong, Korea
매송 주민편익시설 현상 설계
Architectural, Competition
Hwaseong-si, Gyeonggi-do
서울시립(서대문)도서관 건립 설계공모
Architectural, Competition
Seoul, South Korea
숲소리하우스
Renovation, Interior
Seoul, South Korea
Yoga VNA Seoul
Interior
Seoul, South Korea
송파 마을활력소
Architectural
Seoul, South Korea
중화2동 복합청사
Architectural, Competition
Seoul, South Korea
木陽住宅
Architectural
Yang Pyeong, Sout Korea
HOUSE_HIDE
Renovation, Interior
Cheong ju-si, Chungcheong buk-do
Yoga Room in Seoul
Interior
Seoul, South Korea
Ashtanga Vidya
Interior
Seoul, South Korea
송파 마을활력소
Architectural, Competition
Songpa-Gu, Seoul
한국골재협회: 회의실과 사무공간
Interior
Songpa-Gu, Seoul
한국골재협회: 로비
Interior
Songpa-Gu, Seoul
CAFE 古巢云 B
Renovation, Interior
Dongdaemun-gu, Seoul
STATION SAN
Elements, Competition
Wonju, Gangwondo
IRIM YOGA 0.0
Interior
Gwang-myeong, Gyeung gi
가평 주택_ 懷玉齋
Architectural
Gapyeong, Gyeung gi
카페 늘봄
Interior
Seoul
Furnitures for Single House
Elements
Gapyeong, Gyeong-gi
Wardrobe including Shelves
Elements
Seoul
Irim Yoga and Cafe
Interior
Gwachun,Gyeong-gi
CAFE 古巢云
Renovation, Interior
Seoul
Gapyeong Secondhouse (unbuilted)
Architectural
Gapyeong, Gyeong-gi
空의 평면, 共의 마을
Architectural, Competition
Seoul
99間의 集
Architectural, Competition
Seoul
4F park
Architectural, Urban
CBD in New Town Somewhere.


木陽住宅
나무에 햇살이 드는 집


목양주택은 20살이 넘은 두 성인 자녀와 부부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입니다.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할 당시 두 자녀의 독립과 분가 등을 생각하여 두 동으로 분동된 매스의 주택을 제안했었는데, 가족들 모두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을 원하여 하나로 된 건물을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목양주택이라는 이름은, 따뜻한 햇살과 바람, 주변 풍경 등을 한껏 끌어들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은 볕 양陽자와, 시간이 지나면서 세월의 흔적을 담아 그 가치를 더해가는 자연 소재로 집 안팎을 채우고자 했던 의도를 나무 목木자에 담아 짓게 된 이름입니다.






3m의 캐노피, 6.5m의 거실 층고를 가진 가족실



아파트 생활을 하던 서울에서 교외의 단독주택으로 이사를 하고 나서, 집의 규모는 커지고 방과 방 사이의 거리는 멀어졌지만, 오히려 가족끼리 함께 보내는 시간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집 주변으로 시간을 보낼만한 이렇다 할 것들이 많지 않은 관계로 가족끼리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자연스래 가족이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을 때 기존 아파트의 거실에 해당하는 공간은 보다 폭넓은 의미와 기능의 가족실이 됩니다. 집의 중심에 위치한 층고 6.5m의 가족실은, 가족들이 바래왔던 것처럼 함께 밥을 먹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티비를 보며 시간을 보내는 패밀리 라이프스타일의 핵심 공간입니다.

가족실 전면의 유리 파사드는 외부 풍경을 끌어들이는 요소이자, 내외부의 중간 영역인 테라스와 이어져, 자연스럽게 외부와 이어지는 확장적 성격을 부여합니다. 3m 길이의 캐노피 또한 내외부의 경계를 희석하는 음영의 장치가 됩니다. 거실의 좌,우로 두 자녀의 방과 부부 침실이 대칭 배치되어, 건물의 단순한 질서가 입면과 매스를 드러납니다. 테라스는 이와 대비되는 부드러운 곡선의 실루엣을 가지고 있어, 건물은 단단하고 안정감 있는 구축의 모양새를 이루는 반면, 커브형의 테라스는 주변과 보다 유순한 관계맺기를 시도합니다.










top